반응형
<실습문제>
rocky9 1번 가상머신에 mysql m1 컨테이너(bridge) m2 컨테이너(host) 생성하고,
rocky9 2번 가상머신에 wordpress w1 컨테이너(bridge) w2 컨테이너(host) 생성하고,
m1 은 63306 번 포트 사용, w1은 60080 번 포트 사용합니다.
m1(bridge) 과 w1(bridge) 컨테이너를 연결시키고,
m2(host) 와 w2(host) 컨테이너를 연결시켜봅니다.
1번 가상 머신에서
먼저 m1 컨테이너, m2 컨테이너를 실행합니다.
docker run -itd -p 63306:3306 -e MYSQL_ROOT_PASSWORD=[비밀번호] \
> -e MYSQL_DATABASE=wordpress -e MYSQL_PASSWORD=[비밀번호] --name m1 mysql:5.7
docker run -itd --net host -e MYSQL_ROOT_PASSWORD=[비밀번호] \
> -e MYSQL_DATABASE=wordpress -e MYSQL_PASSWORD=[비밀번호] --name m2 mysql:5.7
2번 가상 머신에서
w1 컨테이너, w2 컨테이너를 실행합니다.
docker run -itd -p 60080:80 -e WORDPRESS_DB_HOST=[1번 가상머신 IP:63306] \
-e WORDPRESS_DB_NAME=[DB 이름] -e WORDPRESS_DB_USER=root -e WORDPRESS_DB_PASSWORD=[비밀번호] \
--name w1 workdpress:5.6
docker run -itd --net host -e WORDPRESS_DB_HOST=[1번 가상머신 IP:3306] \
-e WORDPRESS_DB_NAME=[DB 이름] -e WORDPRESS_DB_USER=root -e WORDPRESS_DB_PASSWORD=[비밀번호] \
--name w2 workdpress:5.6
m2 컨테이너와 w2 컨테이너는 host network 이므로,
1번 가상머신의 3306 포트,
2번 가상머신의 80 포트를 열어주어야 합니다.
firewall-cmd --add-port=80/tcp -> 2번 가상머신의 w2를 외부에서 접근하려면
2번 가상머신의 80번 포트 오픈
firewall-cmd --add-port=3306/tcp -> 2번 가상머신의 w2 가 1번 가상머신의 m2에 접근하려면
1번 가상머신의 3306 방화벽오픈
<참고>
컨테이너 간 연동 [워드프레스 사이트 구축]
워드프레스 서버 구축을 위해서워드프레스 는 웹 사이트 생성 소프트웨어 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 하여 웹 페이지를 제공 할 수 있다.워드프레스 는 웹 사이트 생성 소프트웨어 로 아파치, PHP
velog.io
https://seosh817.tistory.com/373
[Docker] 도커 네트워크 이해하기
이번 포스트에서는 도커 네트워크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. 도커 네트워크 구조 기본적으로 도커를 호스트 운영체제에 설치하면 여러가지 네트워크 드라이버들이 설치되며 IP 주소를 순차적으
seosh817.tistory.com
반응형
'클라우드 기초 > 도커&컨테이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쿠버네티스로 wordpress + mysql 연동하기 (0) | 2023.06.23 |
---|---|
쿠버네티스 pod, service, manifest 파일로 pod 생성하기 (0) | 2023.06.22 |
도커 네트워크 - bridge, host (0) | 2023.06.19 |
docker export, import (0) | 2023.06.19 |
docker export, import (도커 이미지 복사) (0) | 2023.06.18 |
댓글